남방불교
남방불교는 테라바다(Therava-da), 즉 상좌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흔히 상좌불교 또는 상좌부불교라고도 한다.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불교를 가리키며, 초기 불교승단의 전통이 상당 부분 이어져 오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비구니 교단은 11세기경에 그 맥이 끊긴 채로 단절되었다. 1998년도 통계에 따르자면, 전 세계 인구 중에서 불교 신자는 6%이고, 그 중에서 상좌부불교를 따르는 불교도가 38%를 차지하고 있다.
남방불교 | 스리랑카 불교유적 |
1. 스리랑카
인도 아쇼카 왕의 전법사가 불교를 스리랑카에 이식시킨 이래로 변함없이 불교는 스리랑카의 중심 종교였다. 일찍이 아쇼카 왕은 아들 마힌다(Mahinda) 비구를 스리랑카에 보내서 불법을 전수하였으며, 딸이었던 상가미타(San톑hamitta-) 비구니를 통해서 붓다가 깨달음을 얻었던 바로 그 자리의 보리수 한 가지를 전해 주었다고 한다. 그 보리수는 지금도 아누라다푸라에서 생명을 잇고 있는데 거국적인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전 세계 불자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 신성한 순례지이기도 하다. 마힌다 장로는 데바난피야 티사 왕(기원전 250~210년 재위)의 외호를 받아 수도였던 아누라다푸라에 대사(大寺)를 세웠는데, 이는 후일 정통적인 대사파의 근거가 되었다. 기원전 1세기경 무외산사(無畏山寺)가 세워져 또 다른 일파를 이루었는데, 이로써 교단은 대사파와 무외산사파로 양분되었다. 두 파는 각각 보수와 진보교단으로 대립하였고, 무외산사파가 대승불교와 밀교를 수용함으로써 그 대립은 극심해졌다. 이러한 대립 양상은 오래도록 지속되다가 12세기에서야 대사파의 승리로 일단락되어 교단이 정비된 이래 현재에 이르고 있다. 스리랑카불교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팔리경전의 전승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대사파에서는 기원전 1세기경에 이미 불전을 정비하기 시작했는데, 경렝껭논 3장뿐 아니라 장외불전까지도 편찬하여 경전연구의 깊이를 더하였다. 11세기 초 스리랑카를 점령한 힌두교 세력의 탄압으로 인하여 한때 불교교단은 위축되었고, 17세기 중반 이후에는 네덜란드와 영국 등의 외세로 인해서 불교세력이 한껏 약화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독립을 회복한 후 불교교단은 더욱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현재 스리랑카는 명실공히 남방불교의 핵심 성지로서 인정받고 있으며, 전 세계 불교도의 순례지로서도 각광받고 있다. 스리랑카에서는 전 인구의 67% 정도가 불교신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 대부분은 싱할라족이다.2. 미얀마
인도의 동쪽 국경을 잇대고 자리한 미얀마는 스리랑카 못지않은 오랜 불교역사를 가지고 있다. 흔히 ‘미얀마에 태어나는 것은 곧 불교도가 되는 것’이라 말할 정도로 미얀마의 불교는 선택의 여지가 없을 만큼 뿌리 깊은 종교라 할 것이다. 미얀마의 불교는 정치세력의 부침과 운명을 같이하였는데, 3~9세기에는 부파와 대승불교가 혼재되어 있다가, 그 후 밀교와 힌두교를 비롯한 여러 토착종교가 공존하는 시기를 거쳤다. 11세기 중엽에, 미얀마의 북부 파간을 중심으로 세워진 통일국가의 왕 아노라타(Anawrahta)가 스리랑카의 대사파 계통의 상좌부불교를 수용했는데, 그 후로 상좌부의 맥이 끊기지 않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파간시대 이래로 정치적 지배세력과 불교승단의 우호적 관계는 계속 유지되어 왔으나, 19세기 말 영국의 침입으로 인하여 왕정이 무너졌고 그 후 정치적인 혼란을 거듭하면서 불교승단도 그 영향력이 약화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근년에 들어서 사회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미얀마 정부가 불교의 이상실현을 표방하면서 적극 후원하고 있는 실정이다.3. 타이
현재, 타이(태국)의 불교를 한마디로 특징짓는다면 ‘국민 모두가 승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불교가 생활 속 깊이 스며 있다는 점일 것이다. 타이에서는 신체 건강한 자로서 20세가 넘으면 누구나 승려가 되도록 추천을 받을 정도로 온 국민의 불심이 깊은 것으로 정평이 나 있으며, ‘교단 통치법’이라는 실정법을 통해서 불교교단의 활동을 규제하고 있다. 타이 땅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대승불교시대일 것이라고 추측되지만 구체적인 사료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13세기 중엽에 타이 민족 최초의 통일왕조였던 스코타이 왕조대에 문자의 발명과 더불어 스리랑카의 상좌부불교를 받아들였다고 알려져 있다. 그 후 14세기부터 타이를 지배했던 아유타야 왕조가 불교의 중흥을 위해 전력하였고, 1783년에 세워진 방콕 왕조의 후원으로 더욱 융성하게 되었다. 특히 라마 4세(1851~1868년 재위)는 사회적 제도의 정비와 더불어 불교교단을 더욱 엄정하게 개혁하고 계율을 엄격히 준수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 때 왕의 정책을 따랐던 정법파(正法派)와 그렇지 않았던 대중파(大衆派)로 교단이 이분되었다. 정법파는 왕실을 비롯한 지배계층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계율을 엄격히 준수하지만, 대중파는 계율이 그리 엄격하지 않다는 차이가 있을 뿐, 두 파 사이의 교의상 차이는 거의 없다. 현재, 타이의 사원들 중에서 90% 이상이 대중파에 속한다.4. 캄보디아
타이의 상좌부불교가 전해진 캄보디아의 불교 또한 타이와 크게 다를 바 없으나, 남방의 다른 나라보다는 힌두교와 대승불교의 세력이 좀더 오래 번성했다는 점이 다르다. 크메르 왕조는 자야바르만 2세(802~869년 재위) 이후부터 9~10세기경의 최성기에 이르기까지 수도 앙코르에 수많은 사원들을 건립했는데, 그 거대한 규모와 정교한 예술성은 오늘날에도 경이로운 세계 유산 중 하나로서 많은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내고 있다. 13세기경 서북쪽에서 타이인의 세력이 발흥하여 영토를 침입하기 시작하자, 크메르 왕조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그 후 유입되기 시작한 상좌부불교는 현재까지 캄보디아의 중심사상으로서 국민을 이끌어 왔다. 다만 캄보디아에 대한 타이의 정치적 영향과 압박이 끊이지 않은 만큼, 타이불교교단의 영향력 또한 지속되어 왔다는 것이 캄보디아불교의 한 성격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1930년에는 타이불교교단의 영향력을 배제하려는 뜻으로 프놈펜에 불교연구소를 건립하기도 했다. 현재, 전 국민의 85% 정도가 불교도로서 신앙생활에 충실하고 있다.5. 베트남
베트남의 불교는 북부 홍하(紅河) 유역에 있던 교지(交趾)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교지는 중국으로 항해하는 선박들이 마지막으로 기착하는 곳으로서 새로운 문물의 유입이 가장 빨랐던 지역이기도 하다. 교지를 통해서 베트남 전역에 퍼진 불교는 10세기 중엽에 중국으로부터 독립 국가를 실현한 후, 불교 또한 황금시대를 맞게 되었다. 단명했던 딘(Dinh) 왕조(968~980년)시대 때 불교에 대한 왕실의 후원이 시작되었는데, 그 대를 이었던 리(Ly) 왕조(1009~1224년) 치하에서는 그 절정에 이르렀다. 리 왕조는 북방의 강력한 나라들의 견제와 투쟁에도 불구하고, 안정과 진보를 이루었다. 리 왕조가 세웠던 다이 비에트(Dai Viet)국은 전반적으로 당나라를 모방하여 운영하였으며, 생활영역에서도 중국 문화의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왕실은 불교교단을 아낌없이 지원하였고, 사원의 건립을 재정적으로 후원하였다. 그 당시 불교는 대중 속에 널리 퍼져 있었고, 지역적인 관습과 혼합되어 있었다. 특히 마을의 수호신과 정령(精靈)에 대한 신앙 및 숭배의식과 결합되어 있었다. 그런데 리 왕조는 당나라의 통치자들과는 달리, 승려들이 왕국의 행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하였고, 중요한 정치적 역할도 맡겼다. 그 결과 12세기 중엽에 불교는 정식 국교의 지위에 올랐다. 그 후로 베트남의 불교는 선(禪)과 정토(淨土)의 교의를 중심으로 하여 대승불교의 맥을 이어왔는데, 중국불교의 양상과 크게 다를 바는 없었다. 1848년 메콩 델타의 안강성(安江省)에서 발족한 정토계의 보산기향파(寶山奇香派)는 ‘나무 아미타불’만 염불하면 족하고 절이나 승려도 중요치 않다고 주장함으로써 일반 농민들 사이에 급속히 보급되었다. 신흥교단으로서 확고하게 자리잡은 보산기향파는 이후 독립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중요한 정치집단으로서 활동하기에 이르렀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식과 함께 베트남의 역사는 격동기를 맞이하는데, 그와 함께 불교 또한 민족주의의 선봉에서 정치에 참여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베트남의 불교사는 투철한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정치 참여로 점철되어 있다는 것이 그 특징으로 꼽히지만, 일부에서는 도교와 습합된 불교의 양상이 상당 부분 미신적 신앙의 경향을 띠기도 한다는 비판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근년에는 틱낫한(Thich Nhat Hanh, 1926~ ) 스님 등의 활약으로 베트남불교에 대한 재조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6. 라오스
라오스는 본래 ‘란상(Lan xang)’이라 하였는데, 이는 ‘백만 마리 코끼리의 땅’이라는 뜻이다. 그 옛날 수백 마리의 코끼리들이 무리를 지어서 메콩 강에서 목욕하는 광경을 볼 수 있었기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메콩 강 상류 지역인 루안프라반을 중심으로 란상 왕국이 세워졌던 14세기 중엽에야 불교가 전파되었다. 란상의 파궁 왕(1354~1373년 재위)은 캄보디아에서 고승을 초청하여 불교를 수용하였고, 통치의 기초로 삼았다. 파궁 왕 이후 정책적으로 불교를 장려하여 곳곳에 사원을 세웠는데, 왓트 프라케오, 타트 루안 등 그 당시 세워진 사찰들은 지금도 라오스의 중심 사찰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라오스의 지형은 산악지대와 평야지대로 이분되는데, 불교도는 주로 평야에 사는 라오인들이 신앙하고 있다. 현재 전체 인구의 60% 정도가 불교도인데, 라오인들은 주로 상좌부불교를 따르며, 소수의 중국인과 베트남인은 대승불교를 믿는다. 1960년 혁명 당시에 불교에 대해 엄격한 태도를 취했던 라오스 사회주의 정권은 최근 들어서 불교를 장려하는 정책을 쓰고 있으며, 제한적이나마 외국인에게도 문호를 개방하여 라오스불교를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알림] 본 자료는 대전 계족산 용화사에서 제공된 자료입니다.